기록

*17일차(다형성 / 바인딩) 본문

학원/강의

*17일차(다형성 / 바인딩)

pringspring 2022. 2. 15. 19:38

@다형성

*정의

  -상속을 이용한 기술로 자식객체를 부모클래스타입의 변수로 다룰 수 있는 기술

 

*객체배열과 다형성

  -다형성을 이용하여 상속관계에 있는 여러 개의 자식클래스를 부모클래스의 배열에 저장가능

 

*매개변수와 다형성

  -메소드 호출시 다형성을 이용하여 부모타입의 매개변수를 사용하면, 자식타입의 객체를 받을 수 있다.

 

*클래스 형변환 (up casting)

 -상속관계에 있는 부모,자식 클래스 간에 부모타입의 참조형 변수가 모든 자식 타입의 객체의 주소를 받을 수 있다.

 -자식객체의 주소를 전달받은 부모타입의 참조변수는 원래 부모타입의 멤버만 참조 가능

 

*클래스 형변환 (down casting)

 -자식객체의 주소를 받은 부모 참조형 변수를 가지고 자식의 멤버를 참조해야 할 경우, 후손 클래스 탕ㅂ으로 참조형 변수를 형 변환 해야 함

-자동으로 처리 X => 후손 타입을 명시해서 형 변환 해야 함

-클래스 간 형 변환은 반드시 상속관계에 있는 클래스끼리만 가능함

 

*instanceof 연산자

 -현재 참조형 변수가 어떤 클래스 형의 객체 주소를 참조하고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

 -클래스 타입이 맞으면 true 아니면 false 반환

 

 

@바인딩

 

*정의

 -실제 실행할 메소드 코드와 호출하는 코드를 연결시키는 것을 바인딩이라고 한다.

 -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에 컴파일이 되면서 모든 메소드는 정적 바인딩 된다.

 

1.정적 바인딩

 *정의

 -CompileTime에 결정

 -호출한 메소드의 실행타입별로 실행할 메소드가 결정되는 것. 

 

 

2.동적바인딩

 *정의

  -Runtime에 결정

  -다형성을 적용해 부모타입으로 메소드를 실행하면 자식클래스의 오버라이드된 메소드가 호출

  -컴파일 시 정적바인딩된 메소드를 실행할 당시의 객체 타입을 기준으로 바인딩되는 것을 동적 바인딩이라 함.

 

*성립요건

  -상속 관계로 이루어져 다형성이 적용된 경우에, 메소드 오버라이딩이 되어있으면 정적으로 바인딩 된 메소드 코드보다 오버라이딩 된 메소드 코드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게 됨.

 

 

 

 

 

'학원 >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*19일차 (문자열 자르기)  (0) 2022.02.17
*18일차 (추상클래스 / 인터페이스)  (0) 2022.02.16
*16일차 (상속)  (0) 2022.02.14
*15일차  (0) 2022.02.11
*14일차(생성자)  (0) 2022.02.10